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다음그다음

토기(土器) 본문

Time trip

토기(土器)

다음그다음 2008. 2. 11. 18:56

빗살무늬토기(즐문토기)

 

그릇 표면을 빗살같이 길게 이어진 무늬새기개로 누르거나 그어서 점·금·동그라미 등의 기하학무늬를 나타낸 신석기시대의 대표적인 토기. ‘즐목문토기(櫛目文土器)’라고도 한다.

또한 겉면에 무늬를 새기고 있기 때문에 ‘유문토기(有文土器)’라고도 하며, 무늬 모양의 특징을 따서 ‘어골문토기(魚骨文土器)’ 또는 ‘기하학문토기(幾何學文土器)’라고도 부른다.

 

현재까지 우리 나라에서 발견된 빗살무늬토기가 출토된 유적의 수는 135개에 달한다. 이들은 한반도 전역에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지는 않고 주로 해안가·강가 그리고 도서지방에서 발견된다.

크게는 대동강·한강을 포함한 서해안지역, 낙동강을 포함한 남해안지역, 두만강을 포함한 동해안지역의 3개 지역군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 지역군 사이에는 뚜렷한 지역차가 있다. 암사동 유적

서해안 및 남해안지역에서는 뾰족 밑을 기본으로 하는 첨저형 빗살무늬토기가 분포된 반면, 동해안지역에서는 납작 밑을 기본으로 하는 평저형 빗살무늬토기가 분포되어 있다.

 

우리 나라 빗살무늬토기는 기형이나 무늬 수법으로 보아 시베리아지방의 영향을 받아 발생한 것으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전래시기는 북한에서는 서포항을 중심으로 BC 5000년기부터 우리나라 신석기시대가 시작된다고 보고 있다. 남한에서는 한강유역의 토기를 중심으로 빗살무늬토기는 BC 4000년경부터 만들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남해안 지방의 덧무늬토기들이나 오산리의 토기들은 빗살무늬토기보다 이른 것으로 BC 6000년경으로 편년하고 있다.

 

※  덧무늬토기

신석기시대에 사용한 토기의 하나. 융기문토기(隆起紋土器)라고도 한다.

빗살무늬토기보다 앞선 신석기 시대 전기에 주로 사용된 그릇의 표면을 약간 돋아나오게 띠 모양의 흙을 덧붙인 토기. 강원 고성 문암리 출토.

덧무늬토기는 토기를 만든 다음 그 기벽 위에 또다시 흙띠를 덧붙여 돋아오르게 한 것을 말한다.
부산 동삼동 유적을 발굴하면서부터 알려졌는데,  덧무늬토기는 이곳의 빗살무늬토기층보다 앞서는 가장 아래층에서 무늬없는 토기들과 함께 발굴되었으며, 이로써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신석기시대 토기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덧무늬토기는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이른 시기의 토기로서 남해안지역에서 가장 성행했으며, 전국 각지에 걸쳐 조금씩 만들어 썼던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한편 덧무늬는 신석기 이른 시기뿐만 아니라 신석기 늦은 시기에서 청동기 이른 시기에 걸치는 민무늬토기에도 베풀어졌는데 이때의 덧무늬는 대개 굵은 편이다.

 

 

무늬없는 토기(무문토기無文土器)

 

청동기시대의 무늬가 없는 토기. 일명 ‘무문토기(無文土器)’·‘무늬없는 토기’라고도 한다. 신석기시대 널리 사용되었던 무늬가 있는 토기인 빗살무늬토기에 상대되는 말로 사용된다.

 

대체로 서기전 2000년을 전후한 시기에 종전의 빗살무늬토기에 외부로부터 새로 들어온 민무늬토기의 제작수법이 더해져 만들어지게 되었다.

 

 

※  미송리식 토기

고조선지역에서 가장 많이 출토되는 청동기시대의 민무늬토기.

1959년 평북 의주군 미송리 동굴 유적에서 전형적인 것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미송리식 토기’ 라고 부름.

 

평북 의주 미송리 동굴에서 처음 발굴되었다. 밑이 납작한 항아리 양쪽 옆으로 손잡이가 하나씩 달리고 목이 넓게 올라가서 다시 안으로 오므라들고, 표면에 집선(集線)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주로 청천강 이북, 요령성과 길림성 일대에 분포한다. 이 토기는 고인돌, 거친무늬 거울, 비파형 동검과 함께 고조선의 특징적인 유물로 간주된다. 
 

 이 토기는 고인돌, 거친무늬 거울, 비파형 동검과 함께 고조선의 특징적인 유물로 간주된다.

'Time tr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 랑  (0) 2008.02.12
씨족사회, 부족사회, 부족국가, 성읍국가, 군장국가, 연맹왕국  (0) 2008.02.12
석기(石器)  (0) 2008.02.11
철기시대  (0) 2008.02.11
석기시대(石器時代)  (0) 2008.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