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그다음
연권녀 이야기 본문
효녀 지은(知恩)은 신라 한기부 백성 연권(連權)의 딸인데 천성이 효도에 지극하였다.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홀로 그 어머니를 봉양하여 나이 32세가 되었으되 시집을 가지 않고 혼정신성하여 좌우를 떠나지 아니하며 봉양할 것이 없으면 품팔이라도 하고 혹 나가서 밥을 빌어다 먹이기도 하였다. 쌀 10여 석을 얻어 두고 종일토록 그 집에서 일하다가 저녁이면 밥을 지어 가지고 와서 봉양하여 삼사 일은 지났다. "지난날에는 밥을 먹어도 달았는데 요즘은 밥은 좋으나 맛이 전만 못하고 마치 칼로 심장을 에는 것 같으니 이것이 무슨 심사냐" 하니 딸이 실정을 말하였다. 소리를 놓아 크게 우니 딸도 따라 울어 슬픔이 길가는 나그네를 감동케 하였다. 조 백 석과 의복 등속을 실어 보내 주고 또 매주(買主)에게 변상하여 좋은 사람에게 시집가게 하였다. 벼 5백 석과 집 한 채를 주고 호세와 풀역을 없애며 곡식이 많아서 도둑해 가는 자가 있을까 염려하여 소속 관원에게 명령하여 병정을 번갈아 보내어 지켜 주게 하고 그 마을을 표창하여 효양방(孝養坊)이라 하고 표문을 올리니 이 미행이 당나라에까지 전해졌다. 왕은 그가 나이는 비록 어리나 노성(老成)한 사람과 같다 하여 곧 친형 헌강왕의 딸을 아내로 주었다.
x-text/html; charset=UTF-8" volume="0" loop="-1" autostart="true">
☞ 연권녀 (효녀 지은)
그러기를 오래하자 피곤함을 견디지 못하여 부자집을 찾아가 종으로 팔리기를 자원하여
그 어머니가 딸더러 이르기를
그 어머니는 "나 때문에 네가 종이 되었으니 내가 빨리 죽는 것만 못하다." 하고
그 때 효종랑(孝宗朗)이 구경 나왔다가 보고 돌아가 부모님께 청하여
낭도 수 천 명이 각기 조 한 섬씩을 내어 보내니 진성왕(定康王이라고도 함)이 듣고
효종 당시 제 3 재상 서발한 인경의 아들인데 어릴 적 이름은 화달이다.
출전 : 삼국사기 열전 -삼국사기 신호열 편역 P.784
이 설화는 [심청전]의 근원설화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