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239)
다음그다음
1. 고대 가요(古代歌謠)개념 고대 가요는 이 땅에 한민족(韓民族)의 역사가 시작된 때부터 고려 이전의 노래 중, 한문으로 쓰여진 한시(漢詩)나 향찰(鄕札)로 기록된 향가(鄕歌)를 제외한 작품을 말한다. 2. 국문학의 형성과 서정 시가의 출현 아득한 옛날 이 땅에 자리잡은 우리 선인들은 하늘을 숭배하..
[1] 환인(桓因) 단군신화에 나오는 하늘의 신. 삼국유사 고조선조에 인용된 고기(古記) 및 후대에 이 두 사서의 영향을 받아 고조선의 역사를 기술한 '동국여지승람'과 '응제시주(應制詩注)' 및 기타 사서에 보인다. 이들에 의하면, 환인은 환웅(桓雄)의 아버지이며, 단군(檀君)의 할아버지로 하늘나라의 신(釋帝.天神.上帝)이다. 환인의 의미와 성격은 한자(漢字)의 차용과 불교문화의 융성이라는 시대적 배경 속에서 찾을 수 있다. 환인의 성격과 기능은 단군신화와 그로 대표되는 한민족문화가 태양을 숭배하는 광명사상을 가지고 있으며, 그 집단의 구체적 의지와 적극적인 실천에 의해 성립된 역사적 사실을 상징한다. [2] 환웅(桓雄) 단군(檀君)의 아버지라고 하는 신화상의 인물. 삼국유사에는 환웅.천왕(天王).신웅(..
1 태평양을 건너온 미군복을 얻어 입는 것이 가장 큰 행복이었던 시절이 있었다. 간혹 마음씨 좋은 미군 아저씨를 만나면 미국으로 입양되는 행운을 얻기도 했다 연을 들고 포즈를 취한 소년들. 전쟁의 傷痕(상흔)을 잠시 잊은 듯하다. 추위와 배고픔에 지친 한 아이가 탈진 했는지 기둥에 머리..
여기 실린 사진은 미국 메릴랜드 주에 있는 NARA(국립문서기록보관청,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5층 사진자료실에 보관된 "KOREA WAR(한국전쟁)" 파일의 사진들입니다. 날짜와 장소는 사진 뒷면에 있는 영어 원문을 따랐고, 사진 설명은 원문을 참조하여 가다듬었습니다. 이 사진이 기록물이 부족..
조악한 '요지경' 안으로 해와 별이 쏟아졌다. 얼음배를 타다 보면 겨울 한낮은 왜 그렇게 쏜살같던지! 콩나물 교실, 앉은뱅이 썰매, 얼룩무늬 교련복…. 요즘 젊은 세대에겐 하나같이 생경한 정경들이다. 하지만 30~50대라면 빛 바랜 한 무더기 흑백사진들 앞에서 '내 옛날 옛적' 추억에 촉촉히 젖어든..
[1] 신라 건국신화 진한 땅에 일찌기 여섯 개의 마을이 있었다. 어느 날, 6개 마을 중 하나인 고허촌의 촌장이 나정이라는 우물 옆의 숲을 바라보니 말이 무릎을 꿇고 있었다. 긴 울음 소리와 함께 하늘로 올라가버리고, 다만 있는 것은 푸르스름한 빛이 도는 큰 알뿐이었다. 그 알을 쪼개었더니 생김새..
용서란 타인에게 베푸는 자비심이라기 보다는 흐트러지려는 나를 나 자신이 거두어들이는 일이다. 용서가 안되는 것은 아직도 이 세상에 대하여 완전히 깨어지지 못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기에 주변에 못마땅한 것이 그리도 많고, 내 아집만 키워지는 것이 아닐까?
[1] 백제 건국신화 주몽은 비류와 온조라는 두 아들이 있었다. 그런데 부여에서 주몽이 낳은 아들(유리)이 와서 태자가 되매 비류와 온조는 태자에게 용납되지 못할까 염려하여 드디어 오간, 마려 등 열 명의 신하를 데리고 남쪽 지방으로 떠나니 백성들 중에서 따르는 자가 많았다. 이리하여 형제는 북..
동부여의 금와왕이 하루는 태백산 남쪽에 있는 우발수라는 곳에 사냥을 하러 갔다. 강가를 천천히 거닐고 있는데 아름다운 한 여인이 울고 있는 모습이 보였다. " 소녀는 누구이길래 그토록 슬피 울고 있느냐 ? " " 소녀는 본시 하백의 딸이온데 이름은 유화라 하옵니다. 하늘의 아들 해모수라는 남자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