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그다음
도이장가 본문
도이장가
[1] 원문과 풀이
님의 목숨을 온전하게 하신
마음은 하늘 가에 미치고
넋은 가셨지만
내려주신 벼슬은 또 대단하구나
바라보면 알리라
그 때의 두 공신이여
오래 되었으나
(거룩한) 자취는 나타나시도다. <양주동 현대어 풀이>
[2] 요점 정리
1.주제 : 두 장군의 충절 정신 애도
2.출전 : 평산신씨 장절공유사(平山 申氏 壯節公遺事)
[3] 해설
(1) 고려 예종 15년에 지어진 향가 형식의 노래. 향찰로 표기되어 있어 '정과정'보다도 더 향가에 가깝다. 8구체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고려 태조를 위해 죽은 김락, 신숭겸 두 장군을 추도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정과정'이 10구체 향가의 전통을 잇는다는 측면에서 가치가 있다면, 이에 비해 '도이장가'는 향찰의 표기라는 점에서 그 가치가 인정된다. 이 작품은 '정과정'과 함께 신라 향가의 맥을 잇는 작품으로 우리 문학사에서 매우 의의가 크다.
(2) 고려 16대 임금 예종(1120년)이 지은 추도의 노래이다. 서경(西京)에서 베푼 팔관회(八關會)에 참석하여 태조 왕건을 구하고 죽은 개국 공신 김낙(金樂), 신숭겸(申崇謙) 두 장수를 추모한 노래이다. 신하들의 위국충절(爲國忠節)의 결의를 북돋우어 왕의 터전을 보전하려는 저의가 스며있는 작품이다. 불교 중심의 정통 향가에서 벗어나 유교적인 충성을 찬양한 것이 돋보인다. 형식은 8구체로 향가 형식이 고려 중엽까지 잔존했음을 보여주며, 내용상으로 볼 때 이장(二章)으로 분절되어 향가에서 고려 속요로 발전하는 과정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