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Time trip (79)
다음그다음
서동과 선화공주 백제 제30대 무왕 그의 이름은 장이다. 무왕의 어머니는 과부였다. 그녀는 서울 남지가에 집을 짓고 홀로 살던 중 그 못의 용과 교통하여 무왕 장을 낳았다. 무왕의 아명은 맛둥이고, 그의 재능이 좋으며 도량은 넓고 깊은 사람이었다. 항상 마를 캐어 팔아 생활해 나갔다. 그래서 사람..
[도미의 처] 도미의 처는 백제 사람인데 그 성계(姓系)는 모른다. 도미는 비록 오두막집의 소민(小民)이나 자못 의리를 알고 그 아내 역시 아름답고 또 절행이 있어 그때 사람들의 칭도하는 바가 되었다. 개루왕이 듣고 도미를 불러 말하되 "무릇 부인의 덕은 비록 정결을 앞세우나 만일 사람이 없는 깊..
아 랑 아랑의 이름은 윤정옥(尹貞玉)이며, 부친이 영남(嶺南) 밀양태수(密陽太守)로 부임하였을 때에 같이 밀양에 갔다. 그 고을 통인(通引- 관리명)과 그의 유모 음모에 빠져서 아랑은 어느 날 밤 영남루의 밤 경치를 보러 갔다가 통인 백가(白哥)에게 욕을 당하였다. 그것은 아랑이 달 구경을 하고 영남..
씨족사회, 부족사회, 부족국가, 성읍국가, 군장국가, 연맹왕국 [씨족사회] 씨족 제도가 전체 사회의 지배적인 구성 원리(構成原理)로 되어 있는 원시 사회. 원시사회에서는 조상의 직계를 우두머리로 하는 씨족사회가 이루어졌고, 그것들의 여러 개가 모이어 부족사회로 발전하였다. [부족사회(部族社..
빗살무늬토기(즐문토기) 그릇 표면을 빗살같이 길게 이어진 무늬새기개로 누르거나 그어서 점·금·동그라미 등의 기하학무늬를 나타낸 신석기시대의 대표적인 토기. ‘즐목문토기(櫛目文土器)’라고도 한다. 또한 겉면에 무늬를 새기고 있기 때문에 ‘유문토기(有文土器)’라고도 하며, 무늬 모양..
뗀석기(타제석기) 구석기시대(약 200만년~1만년전)의 사람들이 주로 만들어 쓰던 석기. 타제석기라고도 한다. 이석기는 구석기인들이 강가나 들에서 적절한 석재를 구한 다음, 돌을 깨서 만든 것으로 사냥에 필요한 무기와일상용 도구로 사용되었다. 간석기(마제석기) 석기시대의 인류가 돌을 갈고 다..
철기시대 인류물질문화 발전 단계에서 연모를 철기로 만들어 썼던 시기. 철은 다른 금속에 비해 원료가 흔하지만 원석으로부터 철을 추출하는 데는 높은 열을 필요로 하므로 어느 정도의 기술발전 없이는 만들기 어려운 만큼 청동에 비해서 늦게 사용되었다. 한편 초기철기시대는 본래 자체적으로 제작하기에 앞서 밖으로부터 철기를 들여다 쓰기 시작한 시대를 말한다. 철의 발상지는 서남아시아 아나톨리아 지방으로 알려져 있고 그곳에서 BC 3000년경부터 철기를 만들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이때는 자연철(自然鐵:隕鐵)을 이용해 두드려 만든 것으로 철기의 생산은 소규모였다. 그후 BC 15세기 무렵에 건설된 히타이트 제국에서 철을 본격적으로 생산하게 되었는데 철을 독점 생산하여 강한 무기로 무장한 전투력을 갖고 제..
석기시대(石器時代) [구석기 시대] 고고학상에 주요한 이기(利器)의 재료에 따라 시대를 구분하는 3시기법(三時期法)이 있다. 즉 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가 그것이다. 석기시대는 이중 제1단계이다. 그리고 영국의 고고학자 J. 러벅은 그가 쓴 〈선사시대 Prehistoric Times〉에서 석기시대를 구석기시대· 신석기시대로 처음 나누었다. 그러나 그후 영국의 L. 브라운에 의해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사이에 과도적인 단계로서 중석기시대를 두는 것이 제창되었으며, 20세기에 와서 중석기시대의 개념이 학계에 널리 쓰이게 되면서, 러벅이 주장한 '신석기시대'의 일부는 중석기시대로 분류되어 에르테뵐레 문화 역시 현재는 중석기시대로 분류되고 있다. 그리하여 석기시대는 구석기 시대, 중석기 시대, 신석기 ..
☞ 선사시대와 역사시대 일반적으로 선사 시대와 역사 시대를 구분하는 기준은 문자 사용의 여부이다. 선사 시대는 문자를 사용하지 못했던 구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를 말하고, 역사 시대는 문자를 만들어 쓰기 시작한 청동기 시대 이후를 말한다. 우리나라는 철기 시대부터 문자를 사용한 것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