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Time trip (79)
다음그다음
근대화 : 봉건적인 상태를 벗어나 인간성과 합리성을 존중하는 근대적인 상태 또는 후진적인 상태에서 선진적인 상태로 되는 것. 근대사회 : 자유와 평등의 관념이 일반화되는 사회. 민란 : 백성들의 의식이 성장했는데도 그들의 사회 ·경제적인 의사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는 상황에서 터져나온 외침. ※ 정조(1776.3~1800.6)때 양반들의 압제와 수탈에 항거하여 항조(소작료 인하), 거세(조세납부 거부), 소청(고을 단위로 비폭력적 항거), 백서(탐관오리의 비행을 글로써 알리는 것) 방법으로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정조 이후 세도정권기에 왕권이 약화되면서 제 기능을 상실함.
월사! 덜사! 동부야~서부야~ 남성들의 대동놀이 '안동차전놀이' 시연 안동차전놀이를 볼 수 있는 기회는 1년에 딱 한번이다.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안동민속축제 기간 중 하루 30분여 진행되는 시연행사 때뿐이다. 이 순간을 놓치면 일 년을 꼬박 기다리는 수밖에 없다. 제41회 안동민속축..
탕평채 - 드셔보신 분 있으신가요? ■ 탕평채(蕩平菜) 봄이 되어 먹는 계절음식에 탕평채라는 것이 있다. 이는 녹두묵에 고기볶음, 미나리, 김, 지단 등을 섞어 만든 묵무침을 말한다고 한다. 당시 봄철의 입맛을 돋구어 주는 음식으로 진달래화전, 진달래화채, 향애단(쑥경단)과 함께 삼짇날의 절식이..
■ 소쩍새와 철쭉꽃 전설 옛날, 아주 옛날에 시어머니와 며느리가 함께 살고 있었답니다. 그런데 이 시어머니는 며느리를 엄청나게 미워하였다네요.. 그 미워하는 정도가 심해서 밥먹는 것에서부터 잠자는 것에 이르기까지 일거수 일투족을 모두 미워했답니다. 시어머니는 며느리가 밥을 먹지 못하게..
이미지출처 : 국립중앙과학관(http://www.science.go.kr) ■ 접동새 전설 옛날 그 옛날에 평안북도 박천의 진두강가에 누나 하나와 남동생 아홉으로 구성된 10남매가 홀아비와 같이 살고 있었다네요. 어느 날 아버지가 계모를 들였는데, 이 계모는 포악하여 전실 자식들을 많이 학대하였답니다. 그러다 누나가..
정과정(鄭瓜亭) [1] 원문과 풀이 (전강) 내, 님을 그리며 울고 지내더니 (중강) 산 접동새와 난 (처지가) 비슷합니다 (후강) (역모에 가담했다는 나에 대한 참소가 ) 옳지 않으며 거짓이라는 것을 (부엽) 잔월효성(殘月曉星 :지는 달 새벽 별)만이 알고 있을 것입니다 (대엽) 넋이라도 님을 함께 모시고(지내..
도이장가 [1] 원문과 풀이 님의 목숨을 온전하게 하신 마음은 하늘 가에 미치고 넋은 가셨지만 내려주신 벼슬은 또 대단하구나 바라보면 알리라 그 때의 두 공신이여 오래 되었으나 (거룩한) 자취는 나타나시도다. <양주동 현대어 풀이> [2] 요점 정리 1.주제 : 두 장군의 충절 정신 애도 2.출전 : 평산..
정읍사(井邑詞) [1] 원문과 풀이 달님이시여. 높이높이 돋으시어 멀리멀리 비취어 주십시오. -후렴 -후렴 시장에 가 계신가요? 진 데(위험한 곳)를 디딜까 두렵습니다. -후렴 어느 곳에나(어느 것이나) 짐을 풀어 놓고 계십시오. 내(남편)가 가는 곳에 날이 저물까 두렵습니다. -후렴 -후렴 [2] 요점정리 1. ..
헌화가(獻花歌) [1] 원문과 풀이 [2] 요점정리 - 작자 : 견우노옹(牽牛老翁 : 소 끄는 노인)-실명 노인 - 연대 : 신라 성덕왕(702∼737) - 갈래 : 향가 - 형식 : 4구체 - 성격 : 민요적, 연가적, 찬미적, 서정적 - 표현 : 상징법, 도치법 - 제재 : 꽃을 바침 - 주제 : 꽃을 꺾어 바치는 사랑의 노래 (헌화), 나이와 신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