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239)
다음그다음
1. 한글문서의 그림 부분을 더블클릭(또는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여 개체 속성으로 들어간 후 '그림' 탭을 클릭 → 파일이름 밑에 있는 '문서에 포함'에 체크. '문서에 포함'이라는 뜻은 파일 경로에 무관하게 그림을 표시해준다는 의미(다른 컴퓨터에서도 나타나게 함) ☞ 해결되었으면 여기서 끝나고, 미해결이면 아래 방법대로 해나감. 2. 한글 문서를 연 다음 '보기'탭을 클릭하여 '그림' 부분에 체크 (한글 문서를 연 다음 '보기'메뉴의 표시/숨기기 → '그림'클릭하여 체크) 3. 윈도우 탐색기에서 C: > Program Files (x86) > Hnc > HncUtils > HConfig100(사양에 따라 80, 90도 있음)로 들어가 파일 실행 → 팝업 메뉴가 나오면 '기본값으로 설정'을 클릭

絶句 - 杜甫 絶句1 遲日江山麗(지일강산려)하고 春風花草香(춘풍화초향)이라 泥融飛燕子(이융비연자)하고 沙暖睡鴛鴦(사난수원앙)이라. 絶句2 江碧鳥逾白(강벽조유백)이요 山靑花欲然(산청화욕연)이라. 今春看又過(금춘간우과)하니 何日是歸年(하일시귀년)고? 나른한 햇살에 강산은 아름답고 바람이 불어와 풀꽃향기 날리네 젖은 진흙 물고 제비 바삐 날고 따뜻한 모래밭엔 원앙새가 조네. 강물이 푸르니 새가 더욱 희게 보이고, 산이 푸르니 꽃빛이 불타는 것 같구나. 금년 봄이 보건대는 또 (속절없이) 지나가나니, 어느 날이 바로 (고향에) 돌아갈 해인가? 두보가 53세때(764) 봄에 안녹산의 난(755~756. 안록산이 반란을 일으켜 현종을 쫓아낸 사건)을 피해 성도(成都)에 머물면서 지은 절구 2수. 기약없이 세월만 보..
山中問答 - 李白 問余何事棲碧山하니 笑而不答心自閑이라. 桃花流水杳然去하니 別有天地非人間이라 왜 푸른 산중에 사느냐고 물어봐도 대답없이 빙그레 웃으니 마음이 한가롭다. 복숭아꽃 흐르는 물따라 묘연히 떠나가니 인간세상이 아닌 별천지에 있다네. - 중국어 발음 - 원유허이치삐쌴 샤오얼뿌따씬쯔샨 타오화류수이야오란취 삐에여우티앤띠페이런쨘 ※ 당(唐 : 618~907)나라 詩人 1) 이백 李白(701~762) 2) 두보 杜甫(712~770) 3) 한유 韓愈(768~824) 4) 유종원 柳宗元(773~819) 5) 백거이 白居易(772~846) 字는 樂天이고, 호는 취음선생(醉吟先生), 향산거사(香山居士)
1. 의심(疑心)을 버려라! 내가 하고 있는 일, 가고 있는 길, 보고 있는 것, 듣고 있는 것, 나의 생각, 판단력, 능력, 존재감을 의심하지 말라. 2. 소심(小心)을 버려라! 마을을 대범하게 쓰는 자 무엇이 두렵겠는가? 큰 사람이 되자, 큰 마음을 갖자, 당당함을 내보이는 자가 되라. 3. 원심(怨心)을 버려라! 원망하는 마음은 스스로를 피곤하게 한다. 소심하게 살아왔음도, 굳건하지 못했음 마저도 원망하지 마라. 옹졸한 마음을 버리면 앞이 보인다. 마음 안에 원(怨)이 없어야 바로 나아갈 수 있으리라. 4. 교심(驕心)을 버려라! 교만해지면 사람을 잃는다. 매사 도전적이되, 머리 숙일 줄도 알아야 한다. 승부를 즐기되, 승리에 집착하지는 말라. 5. 변심(變心)을 버려라! 끝은 처음과 꼭 같아야 한..
- 실패하는 사람들의 습관 1) 남 탓만 한다. 2) 머리로만 보고, 실천을 하지 않는다. 3) 정확한 목표가 없다. 4) 쉬운 일만 찾는다. 5) 좋은 친구가 없다. 6) 너무 빨리 포기한다. 7) 작은 돈을 소홀히 한다.
@김숙기의 가족클리닉(서울신문 2007.7.4자 27면)-행복 만들기 때때로 'No'라고 해야할 자리에서 당당하고 분명하게 'No'라고 자기 표현을 할 줄 하는 것은 지혜롭고 아름다운 일이다. 자기 자신을 지킬 줄 알고, 스스로 존중하는 마음을 가진 건강한 사람만이 할 수 있는 일이다. 바꿔 말하면 자기 자신보다 상대방의 기분이나 눈치를 살피고 막연히 상대가 원하는 것에 맞추려 하는 사람들은 자신을 잘 돌보지 못하는 사람이다.
@ '사소한 것에 목숨 걸지 말라'-리처드 칼슨 - 매일 매일 사항하는 누군가를 생각하면서 약간의 시간을 보내라.(p129) 매일 짬을 내어 사랑하는 누군가를 생가해 보세요. 매일 아침 나는 잠에서 깨면 두 눈을 감고 심호흡을 몇 차례 합니다. 그리고 나 자신에게 '오늘 누구에게 사랑을 보낼까?'라고 묻습니다. 그러면 즉각 누군가의 얼굴이 머릿속에 떠오릅니다. 가족일 수도 있고, 친고, 동료, 이웃, 과거의 누군가일 수도 있으며, 길거리의 낯선 사람일 수도 있습니다. 나에게 있어서 그 사람이 누구인지는 중요치 않습니다. 내 마음을 사랑 쪽으로 이끄는 것이 목적이니까요. 사랑을 베풀 사람이 정해지면 나는 그 사람에게 사랑으로 가득한 하루가 되기를 지원합니다. '사랑으로 가득한 멋진 날이 되길!' - 자신의..
1. 사실을 알고 싶으면 무지하고 우매한 것처럼 행동하면 된다. 2. 모든 악(惡)에 대한 저항은 노여움으로 하지 말고, 평정한 태도로써 하자. 비록 이쪽이 정당하다하더라도 노여움으로 대한다면 악을 정화하고 이기지 못하게 될 것이다. 악에 대해서 가장 강한 거은 조용한 태도이다.(B.프랭클린) 3. 바닷가의 조약돌을 그토록 둥글고 예쁘게 만드는 것은 무쇠로 된 정이 아니라 무드럽게 쓰다듬는 물결이다. 4. 모든 사람의 비위를 맞추려하다가는 결국 누구의 비위도 맞추지 못하게 된다. 5. 하늘은 표정이 밝고, 긍정적인 사고를 가진 사람에게 복을 내려준다. (영국 수상 존메이어) 6. 버림으로써 집착과 얽매임에서 벗어나게 되고, 홀가분한 해방감, 홀가분한 마음을 가질 수 있다. 7. 아주 가까운 사이라도 각자..

등대란? 바다에서 배들이 위험물을 피하여 안전하고 빠르게 운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바다에도 육지의 도로처럼 배들이 다니는 길이 있습니다. 이것을 항로라고 하는데 항로는 육지의 도로처럼 눈에 보이지 않으며, 바다에서는 배가 안전하게 운항을 하기 위하여 해도라는 바다의 지도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운항중인 배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여 안전하고 빠르게 운항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섬, 곶, 항만, 협수로 등에 인공적으로 설치한 시설을 항로표지라고 합니다. 그리고 등대는 배가 육지의 위치나, 육지와의 거리, 위험한 곳 등을 확인하고 항만의 소재, 항구 등을 알리기 위하여 설치된 탑 모양의 구조물로 빛을 비추는 대표적인 항로표지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유인등대 43기, 무인등대 519기가 있습니다. 외로움..
곰나루의 슬픈 전설 공주의 옛이름 '웅진'은 원래 금강가에 있는 나루터인 「고마나루(곰나루)」에서 비롯되었어요. 이 곰나루에는 슬픈 전설이 내려오지요. 옛날 이곳에 살던 한 사내가 하루는 인근에 잇는 연미산에 놀러갔다가 길을 읽고 배가 고파서 바위 굴 속에 쉬고 있던 중 한 처녀를 만났어요. 사내는 처녀와 굴 속에서 하룻밤을 지내는 동안 부부의 인연을 맺었지요. 그러나 매일 굴 밖으로 나갔다가 오는 처녀의 정체가 의심스러워 따라가 봤더니 처녀가 곰으로 변하는 게 아니겠어요? 놀라 도망가려던 남자를 암콤은 동굴 속에 가두어 두고 살았어요. 그러는 동안 자식까지 둘을 낳았고 이제야 도망가지 않을 거라고 안심한 암콤이 굴을 나간 사이 남자는 금강을 헤엄쳐 사람들이 사는 마을로 도망을 가버렸어요. 뒤늦게 사실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