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239)
다음그다음
정읍사(井邑詞) [1] 원문과 풀이 달님이시여. 높이높이 돋으시어 멀리멀리 비취어 주십시오. -후렴 -후렴 시장에 가 계신가요? 진 데(위험한 곳)를 디딜까 두렵습니다. -후렴 어느 곳에나(어느 것이나) 짐을 풀어 놓고 계십시오. 내(남편)가 가는 곳에 날이 저물까 두렵습니다. -후렴 -후렴 [2] 요점정리 1. ..
얄 개 수 첩 ■ 신이 인간에게 주신 두 가지 선물 1. 사랑 1) 아가페 2) 에로스 3) 에피투미스 4) 우 정 2. 망 각 1) 영원한 망각 2) 순간적인 망각 3) 기억될 수 있는 망각(추억)
■ 나 락 우리 나라의 벼농사는 청동기 시대에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이 최근까지의 연구였다. 이에 비해 일본 학자들은 자신들의 벼농사 상한선을 서기전 1000년으로 잡고, 우리의 벼농사는 일본을 통해 전래된 것이란 주장을 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것은 한마디로 개 풀 뜯어먹는 얘기인 것이다..
□ 꼭두각시 '남의 조종에 놀아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다. 우리 나라의 고대 민속 인형극인 '박첨지 놀이'에서 박첨지의 아내 역으로서, '나무로 깎아 만들어 기괴한 탈을 씌워서 노는 젊은 색시 인형'을 꼭두각시라고 한다. 여기서 '각시'는 '아내'를 일컫는 말이며 '꼭두'는 옛말에서 '곡도'로 쓰였다. '곡도'는 '곡독'에서 'ㄱ'이 떨어진 것이며, '곡독'은 한자말 '곽독(郭禿)'에서 온 말이다. '곽독'은 본디 몽고에서 괴뢰(傀儡)의 얼굴, 즉 가면을 지칭하던 말이다. 이 말이 중국에서 '곽독'으로 받아 들여지고, 다시 우리나라에서 '곡독'으로 변해서 '곡독→곡둑→꼭둑→꼭두'로 변한 것이다. 따라서, 꼭두각시는 허깨비의 가면을 뜻하는 몽고말에서 비롯하여 우리말 '각시'가 덧붙어 민속 인형극 '박첨..
미운 사람이라 하여 그 언행(言行)이 모두 그릇된 것이 아닐 텐 데도 무조건 미워하게 된다. 미운 언행 그 자체만 미워하면 되는데 그 사람 전부를 미워하게 된다. 인간이기에 어쩔 수 없는 인지상정(人之常情)랄 수도 있다. 그러나 우리는 노력으로 이를 극복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즉 수양(修養)이 필..
헌화가(獻花歌) [1] 원문과 풀이 [2] 요점정리 - 작자 : 견우노옹(牽牛老翁 : 소 끄는 노인)-실명 노인 - 연대 : 신라 성덕왕(702∼737) - 갈래 : 향가 - 형식 : 4구체 - 성격 : 민요적, 연가적, 찬미적, 서정적 - 표현 : 상징법, 도치법 - 제재 : 꽃을 바침 - 주제 : 꽃을 꺾어 바치는 사랑의 노래 (헌화), 나이와 신분..
풍요(風謠) [1] 원문 來如來如來如 (래여래여래여) 來如哀反多羅 (래여애반다라) 哀反多矣徒良 (애반다의도량) 功德修叱如良來如 (공덕수질여량내여) [2] 풀이 오다 오다 오다 오다 서럽다여 서럽다 우리들이여 功德 닦으러 오다 (양주동역) 온다 온다 온다 온다 서러운 이 많아라. 서러운 중생의 무리여 ..
천수대비가(千手大悲歌) [1] 원문 [2] 풀이 무릎을 곧추며 두 손바닥 모으와 천수 관음 전에 비옴은 두노이다! 천(千) 손에 천(千) 눈을 하나를 놓고 하나를 더옵기 둘 없는 내라 하나야 그으기 고치올러라 아으으 내게 끼쳐 주시면 놓되 쓰올 자비여 얼마나 큰고 - 양주동역 무릎을 낮추며 두 손바닥 모아,..
처용가(處容歌) ▣ 원문과 풀이 [1] 풀이 서울 밝은 달밤에 밤 늦도록 놀고 지내다가 들어와 자리를 보니 다리가 넷이로구나. 둘은 내 것이지만 둘은 누구의 것인고? 본디 내 것(아내)이다만 빼앗긴 것을 어찌하리. [2] 요점 정리 - 작자 : 처용(處容) - 연대 : 신라 헌강왕(875-885) - 갈래 : 향가 - 형식 : 8구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