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239)
다음그다음
우적가(遇賊歌) [1] 원문 [2] 풀이 제 마음에 형상을 모르려던 날 멀리 □□ 지나치고 이제란 숨어서 가고 있네 오직 그릇된 파계주를 두려워할 짓에 다시 또 돌아가리! 이 쟁기(무기, 칼, 도둑의 흉기)랄사 지내곤 좋은 날이 새리이니 아으 오직 요만한 선(善)은 아니 새 집이 되니이다. 양주동 해독 제 마..
어린 아이가 엉금엉금 기어다닐 때는 그 얼굴은 모두가 아름다울 뿐이다. 자람에 따라서 무리(徒)로 갈라지는데, 무리로 갈라지면서 버릇이 갈라지고, 버릇이 갈라지면서 相(용모)도 따라 변한다.
'해당화가 곱-게 핀 바닷가에서 ....' 이렇게 시작되는 동요도 그리울 뿐 만 아니라 해당화라는 단어는 어느 모를 그리움을 자아내는 것 같습니다. 해당화꽃의 유래에 관한 전설은 여러 개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 북한의 만화책에 나오는 이야기를 아래에 요약합니다. @ 옛날 동해바닷가 어느 마을에 수동이라는 총각이 홀어머니를 모시며 살아가고 있었습니다. 수동은 착하고 효성이 극진하여 마을 사람들의 칭찬이 자자했습니다. 그렇게 살아가고 있던 어느날 어머니가 병으로 자리에 눕게 되었습니다. 어머님을 위해 밤낮으로 뛰어다니며 좋다는 약을 다 구해 써 보았지만 차도가 없었습니다. 그러한 차에 어머니가 정어리를 먹고 싶다고 하여 수동은 어머니께 드릴 정어리를 잡으러 바다에 나가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웬일인지 온종일 ..
지질시대(地質時代) 오랜 지구의 발전 과정 중, 지구의 표면 부근에 지각(地殼 - 주로 각종 암석으로 구성된 지구의 껍데기)이 형성된 이후부터 현세에 이르기까지의 약 40억년 간의 시대. 크게 선캄브리아대, 고생대, 중생대, 신생대로 나누고, 신생대는 다시 제3기와 제4기로 나눈다. 제4기는 또 홍적세..
[Table] 000 [마키] 마퀴 1.문장이 흘러갈 때의 특정한 색상 예쁜 배경색상이 보이나요? 2. 마퀴 박스의 크기 조절 가로 200 이고 세로 30인 사이즈 3. 흘러가는 문장의 방향을 자유롭게 하기 [마퀴] 가로 200이고 세로 30인 사이즈로 왼쪽으로 가는 마퀴 left : 문장이 왼쪽으로 흘러감 right : 문장이 오른쪽으로 흘러감 up : 문장이 위로 흘러감 down : 문장이 아래로 흘러감 4. 문장이 양쪽으로 왔다갔다 흘러가게 하기 문장이 왔다리갔다리 합니다. 5. 흘러가는 문장의 속도 조절하기 [마퀴] 속도조절 [ 그 림 ] [ 음 악 ] 음악듣기ㅣ음악끄기 배경음악 배경음악 끄기 [ 테이블에 링크 걸어 이동하기 ] 내용 TR, TD에도 적용 [ 표의 셀에 링크 넣기 ] http://..
[도미의 처] 도미의 처는 백제 사람인데 그 성계(姓系)는 모른다. 도미는 비록 오두막집의 소민(小民)이나 자못 의리를 알고 그 아내 역시 아름답고 또 절행이 있어 그때 사람들의 칭도하는 바가 되었다. 개루왕이 듣고 도미를 불러 말하되 "무릇 부인의 덕은 비록 정결을 앞세우나 만일 사..
민본사상(民本思想) 민심(民心)을 근본으로 하는 정치사상. 〔연 원〕 민본이라는 말은 ≪서경≫ 하서(夏書)에 있는 ‘민유방본(民惟邦本)’이라는 말에서 나온 것이다. 앞뒤의 문맥에서 보면, 그 내용은 “백성은 가까이 친애할 것이나 하대해서는 안 된다. 백성은 나라의 근본이니 근본이 견고하면 ..
안민가(安民歌) [1] 원문 [2] 풀이 임금은 아버지요, 신하는 사랑하실 어머니요, 백성은 어린 아이라고 생각하신다면, 백성이 사랑을 알 것입니다. - 군신민(君臣民)의 관계(위정자의 선정) 꾸물거리며 사는 백성들은, 이를 먹임으로써 다스려져, '내가 이 땅을 버리고 어디 가랴?'라고 백성들이 말한다면,..
서동요(薯童謠) [1] 원문 [2] 풀이 선화 공주님은 남 몰래 사귀어(정을 통해) 두고, 맛둥(서동) 도련님을 밤에 몰래 안고 간다. <삼국유사(三國遺事)> 권2, 무왕 [3] 요점정리 작자 : 백제 제 30대 무왕, 서동(薯童)/ 양주동 해독 연대 : 신라 진평왕(579∼632) 때(599년 이전) 갈래 : 향가 형식 : 4..